고려대학교 사회불안장애 상담센터
로그인 │ 회원가입
센터소개 사회공포증이란? 치료과정 게시판 자료실
접수면접 신청
치료후기
[51기] 그래서 결국 효과가 있었습니다
18.02.11
[51기] 12주간의 치료에서 가장 큰 도움을 받았던 부분은
18.02.11
[51기] 저는 제 인생에서 제대로 된 발표경험이란 절대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
18.02.11
[51기] 저는 이 프로그램을 시알리스 참여하게 된 이유가 대인공포증이었습니다.
18.02.11
개인정보취급방침
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안암5가 고려대학교 인문계캠퍼스 법학관구관 204A호 HP. 010-4498-4505 AM 10:00 ~ PM 07:00
사회공포증(사회불안장애)은
남들이 유심히 지켜보거나 나를 평가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나 말을 할 때 긴장하고 불안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. 이러한 긴장과 불안으로 인해 사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은 평소에는 잘하는 행동도 여러 사람이 있는 앞에서는 심한 불안으로 인해 잘 해내지 못합니다.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100명중 시알리스 5mg 13명 정도가 사회공포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, 가장 흔한 심리적인 문제 중 하나입니다.
사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은
여러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말하는 것을 두려워합니다. 그 외에도 식당이나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식사를 할 때, 다른 사람들 앞에서 글을 쓰거나 카드 영수증에 서명을 할 때 등 여러 가지 상황에서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.사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은 흔히 다음과 같이 생각하거나 행동합니다.
▶ 발표나 프리젠테이션을 피한다.
▶ 식당이나 카페에서 주문을 하기 어렵다.
▶ 남에게 부탁하거나, 부탁을 거절하기 어렵다.
▶ 얼굴이 쉽게 붉어지고, 이를 남들이 이상하게 여길 것 같다.
▶ 말을 자주 더듬어서 말하기 부담스럽다.
▶ 회식이나 뒤풀이 자리가 곤욕스럽고 힘들다.
그렇다면 지나친 수줍음과 다른점은 무엇일까요?
수줍음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비교적 큰 문제없이 잘 지내지만 다만 남들 앞에 잘 나서지 않고 부끄러움을 타는 것인데 비해, 사회공포증의 경우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고 불안이나 불편을 느끼는 사회적 상황을 자꾸 피하려 합니다.
인지행동치료(Cognitive Behavioral Therapy)
▶ 사회불안장애에 가장 효과적인 심리치료 시알리스 10mg 방법
▶ 생각과 행동의 수정을 통한 자료
▶ 참가자의 60~85% 정도가 증상이 호전
▶ 약물치료에 비해 낮은 재발률
집단치료와 개인치료
집단치료
▶ 비슷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대화하고 인지 및 행동적인 기법들을 배우며 서로 피드백을 제공
▶ 한 집단 당 5~6명, 12회기로 구성
▶ 프로그램 종결 후에도 1,3개월 단위로 추후 관리
▶ 약물치료에 비해 낮은 재발률
개인치료
▶ 치료자와 1:1로 치료를 진행
▶ 주 1회, 50분
어떻게 치료하나?
▶ 자신의 사회공포증 이해하기
▶ 자신의 생각을 다루는 법 배우기 시알리스 20mg (자동적 사고 찾기/인지적 오류교정하기)
▶ 불안 상황에의 노출 훈련 (모의 직면 훈련/실제 직면 훈련)
▶ 비디오피드백(Video-feedback)
▶ 이미지 재구성 기법(Imagery rescipting)
▶ 핵심 신념 다루기
▶ 자가 치료자 되기
사례1.
대학교 4학년생인 박군은 발표할 때 심하게 떨리는 것 때문에 오랫동안 고민해왔습니다. 한번은 수업시간에 발표를 하다가 너무 떨려서 목소리가 마치 울먹이는 것처럼 나왔고, 그 후로 박군의 고민은 더욱 심해졌습니다. 그래서 박군은 발표를 시킬 것 같은 수업은 아예 신청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. 시알리스 전문 그 밖에도 교수님을 만난다거나, 과 친구들과 어울린다거나 할 때면 가슴이 두근두근 거리고 온몸이 떨려서 뭐 하나 제대로 할 수가 없을 지경입니다. 게다가 외모에도 자신이 없어서 자신의 눈매가 너무 날카롭고 뻣뻣해서 다른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. 다른 사람이 시야에 들어오면 아무 방향으로 눈을 돌리지 못하고 눈에 힘이 더 들어가게 되는 바람에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을 바라보지 못할 뿐 아니라, 남들이 이런 자신의 모습을 이상하게 보는 것만 같아 버스에 타는 것도 괴롭다고 합니다.
사례2.
회사원인 김양은 원래 소심하고 얌전한 성격인데 다른 사람들 앞에서 말을 하거나 일할 때 심하게 가슴이 뛰고 얼굴이 붉어지곤 합니다. 회사에 입사한지 3년이나 지났지만 상사에게 결재서류를 가져가거나 다른 사람에게 말을 걸어야 할 경우에는 아직도 당황스럽고 진땀이 납니다. 식사를 할 때도 남들이 쳐다볼 것 같은생각에 항상 신경이 곤두서서 밥믈 먹게 되는데, 혼자 시알리스 100mg 먹어야 할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시선이 부담스러워 아예 굶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 김양은 이런 문제들 때문에 늘 긴장된 나날을 보내고 있으며, 직장을 옮기거나 그만 둘 생각까지 하고 있습니다.
copyright@고려대학교 사회공포증 상담센터. All rights reserved.